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녹색물류
- 교통학
- 지하물류
- 라운드테이블
- 서울대학교
-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
- Physical internet
- 지속가능한 물류
- 대학원
- 물류
- 탄소중립
- 지속가능
- 교통
- 인턴
- 대한교통학회
- 물류연구실
- 서울대
- 지속가능성
- 교통학 전공
- 환경대학원
- 철도물류
- 교통물류
- 서울대 환경대학원
- 모빌리티
- 신입생 모집
- 교통학전공
- 콜로키움
- esg
- 신입생모집
- 허성호
Archives
- Today
- Total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논문 리뷰 - Addressing rebound effects in transport policy – Insight from exploring five case studies 본문
논문 리뷰
논문 리뷰 - Addressing rebound effects in transport policy – Insight from exploring five case studies
GSES 허성호 교수 2024. 12. 16. 21:56- 실제 사회의 다양한 인과관계는 거미줄이라는 말로는 부족할 정도로 복잡하다.
- 마치 어린이 장난감인 '슬라임'을 손으로 꽉 쥐면 손가락 사이로 새어나가 다시 뭉쳐지는 것 같다.
- 어떤 정책은 그 목적을 달성하더라도, 다른 부문에 영향을 주어 예상치 못한 효과(음 또는 양의)를 가져온다.
-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은 특히 명확한 양과 음의 효과들의 전개로 연결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교통부문의 몇가지 정책들을 중심으로 Rebound effects를 확인하고 있다.
리뷰어: 양훈 박사과정
[2024-1125] addressing rebound effects in transport policy – Insight from exploring five case studies.pdf
0.28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