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입생모집
- 서울대학교
- 교통학전공
- 서울대 환경대학원
- 서울대
- 인턴
- 지속가능성
- 물류연구실
- 물류
- 교통학 전공
- 대학원
- 철도물류
- 탄소중립
- 녹색물류
- Physical internet
- 지속가능한 물류
- 신입생 모집
- 대한교통학회
- 라운드테이블
-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
- 환경대학원
- esg
- 교통물류
- 콜로키움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 교통
- 지속가능
- 교통학
- 지하물류
- 허성호
- Today
- Total
목록허교수 이야기 (38)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로테르담은 네덜란드의 도시답게 길거리에 참 많은 자전거가 있다. 그 중 자전거 짐칸, 카고바이크가 눈에 많이 들어온다. 일단 기본적으로 짐받이 플랫폼은 거의 다 달려있다. 수요가 많기 때문인 듯. 다양한 카고함 형태가 있으며, 대여 자전거도 짐칸은 기본이다. 평탄한 지형도 이렇게 많이 이용하는데 한목 하는 듯.

지난 5.26-28 에는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Transportation Research Symposium 2025가 열렸다. TR Symposium은 Elsevier가 주축이 되어 WCTRS의 support로 개최된 행사로, Elsevier는 TR part A – F 및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등의 저널을 발간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총 200개의 Oral presentation과 300개의 poster presentation 이 선정되었다고 한다. 첫날 UC Davis의 Susan Handy 교수님의 키노트발표 “The role of research in shaping policy and practice”를 시작으로 행사가 시작되었는데 특히 이 키노트발표에서는 ..
최근 지하 개발에 대한 이슈가 많다. 개발에 의한 침하 등은 건설 자체의 문제라면, 아래와 같이 운영을 고려하는 문제도 있다. 아래 서울연구원 보고서에서는 지하와 연결되는 건축물에서 사람들이 대피해야 할 경우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다. https://www.si.re.kr/bbs/view.do?pstSn=2503120002&key=2024100039&fbclid=IwY2xjawJ8GHNleHRuA2FlbQIxMABicmlkETEydlBWRVhLOUtNb3psZG1xAR6XpUBVNeR5YSJpmjU2F26QmtqcFej2a5mnO5Z_h5j3Tkaj5oidLYQHVbSAfA_aem_4b7VEmzxQdXKiwOnT5Gdrw 사람이 있는 공간과 없는 공간은 재해의 대응에서 차이가 있다. 비록 방재 전문가는 ..

교통학회 발간지인 "교통기술과 정책" 제22권 제1호에 "지하물류시스템의 개념정의 및 운영 시나리오 도출" 이라는 제목의 논단을 실었습니다.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2107643 지하물류시스템의 개념 정의 및 운영 시나리오 도출 | DBpia허성호, 이성진 | 교통기술과정책 | 2025.3www.dbpia.co.kr 지하물류 프로젝트를 통해서 도출한 지하물류시스템의 개념적 정의와, 실현 가능한 운영시나리오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하물류에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 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얼마전 우연히 Boston Dynamics 의 로봇 영상을 보게 되었다. 아래 영상이다. https://youtu.be/I44_zbEwz_w?si=gBZMbrTxkSv3Gjlv 영상의 로봇은 일반 사람 이상으로 사람이 할 수 있는 무브를 보여주고 있다.(물론 시행착오는 있었으리라 생각되지만.) 문득, 물류작업 현장에서 로봇의 등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지금까지 물류로봇은, 로봇을 위한 전용 환경 구축이 필수적이었다. 평탄한 바닥이 구비되어 있어 바퀴가 잘 굴러가거나, 전용 궤도를 설치하여 그 위를 이동하게 하거나, 바코드나 QR코드처럼 비전으로 쉽게 상품을 인식하거나 등등.. 이러한 환경 구축에는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물류기업들은 수지타산을 계산 해 보고 물류로봇의 도입을 결정하였다. ..

청량리 시장은 서울의 대표 시장 중 하나로 경동시장, 약령시장, 한방시장 등 여러 시장 상권이 모여 있다. 일 평균 유동인구 수는 약 5만명(https://www.mk.co.kr/news/economy/10983581)에 약 2500여개 점포가 모여있다고 하니 가히 서울을 대표하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 보니 점포를 디지털화 하고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0103080725&category=&sns=y) 택배를 이용해 판매 권역을 확대하는 배송서비스(https://www.siju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4293)를 시도하는 등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스타벅스 경동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