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서울대
- 교통
- 교통학 전공
- 택배
- 대학원
- 철도물류
- 지속가능한 물류
- 콜로키움
- 녹색물류
- 신입생 모집
- 교통학전공
- 인턴
- 미래
-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
- esg
- 환경대학원
- 탄소중립
- 서울대학교
- 대한교통학회
- 교통학
- 서울대 환경대학원
- 지속가능성
- 라운드테이블
- 지속가능
- 허성호
- 물류연구실
- 교통물류
- Physical internet
- 물류
- 모빌리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95)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화물차는 단위 배출량으로 볼 때 도로부문 온실가스 배출의 주 요인이다. 하지만 화물차로 일반화 되는 군집 내에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주체들이 있다.한정된 자원으로 최대의 환경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요 대상들을 선별한 접근이 필요하다. 리뷰어: 조한나 박사과정

청량리 시장은 서울의 대표 시장 중 하나로 경동시장, 약령시장, 한방시장 등 여러 시장 상권이 모여 있다. 일 평균 유동인구 수는 약 5만명(https://www.mk.co.kr/news/economy/10983581)에 약 2500여개 점포가 모여있다고 하니 가히 서울을 대표하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 보니 점포를 디지털화 하고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0103080725&category=&sns=y) 택배를 이용해 판매 권역을 확대하는 배송서비스(https://www.siju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4293)를 시도하는 등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스타벅스 경동1960..

무인택배함이 등장한 지는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꽤 오래 되었다. 지금은 아파트 단지나, 주택가, 편의점, 기숙사 등 다양한 곳에서 볼 수 있으며 형태도 단순히 번호키 달린 상자 수준의 택배함, 전자시스템 기반 택배함, 오픈형 택배함 등 다양하다. 일부 방송에서는 우리나라의 좋은 치안을 이야기 하면서 택배를 문 앞에 놓고 가도 아무도 훔쳐가지 않는다고(하지만 자전거라면?) 하는 이야기도 쉽게 들을 수 있다. 다만 여러 자료들을 살펴보면 문 앞에 놓고 가는 것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북유럽 등 여러 나라들에서도 그렇게 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분실의 위험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인데, 분실의 위험성에 따른 기대 피해비용이 우리집 문 앞에서 받을 수 있는 편리함보다 ..

택배보관함(parcel locker)은 대면배송의 어려움과 비대면시 분실의 위험을 줄여주는 대안이다.본 연구는 거기에 더하여 운송효율 및 환경적 효과도 확인하고 있다.초 말단의 일부를 고객들에게 전가하여 높아지는 효율인만큼 비즈니스 관점에서 활용 방안 고민을 해볼 수 있겠다. 리뷰어: 최병선 박사수료

일본은 이래저래 우리와 가까이 비교할 수 밖에 없는 나라이다. 물류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산업의 구조나 사회에서의 역할 등 많은 부분 일본과 닮아있다. 특히 최근 노령화, 제도의 변화와 함께 속칭 "2024 문제"라는 공급 부족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대응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전의 포스팅에서 다룬 바 있다. * 일본의 물류 2024 문제와 한국 https://snu-shur.tistory.com/56* 물류 효율화를 위한 일본의 대응 https://snu-shur.tistory.com/81 Physical Internet(PI), 혹은 물리적 인터넷은 "디지털 기술로 차량과 창고 정보를 가시화한 뒤 규격 용기에 화물을 담아 여러 기업의 물류 자산이 공유화된 네트워크로 공동 수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