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hysical internet
- 택배
- 탄소중립
- 지속가능한 물류
- 서울대학교
- 모빌리티
- 인턴
- 허성호
- 녹색물류
- 신입생 모집
- 라운드테이블
- 콜로키움
- 대한교통학회
- 서울대 환경대학원
- 물류
- 서울대
-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
- esg
- 교통학
-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
- 철도물류
- 교통
- 교통학전공
- 환경대학원
- 물류연구실
- 미래
- 대학원
- 교통학 전공
- 교통물류
- Today
- Total
목록지속가능한 물류 (2)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안녕하세요, “대학교 캠퍼스의 교통 및 물류 부문 ESG 성과 강화를 위한 통합 지표 및 실행방안 연구”에 대해서 발표한 석사 2학기 김유정입니다. 허성호 교수님의 녹색물류 수업 팀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를 착안하여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ESG란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딴 단어입니다. 기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경영을 하기 위한 ESG 가이드라인이 제공되고 있고, 대학교에서도 ESG 시대에 발맞춰 ESG 보고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대학교의 ESG 보고서를 공부하면서 교통과 물류 부문이 다른 부문들에 비해 내용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대학교 캠퍼스에서 교통과 물류 부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해당 부문에 대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

디지털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전자상거래의 지속적인 성장, 1인 가구의 증가 및 코로나19의 발생과 확산으로 인해 온라인 소비가 늘어나면서 택배 물동량도 함께 급증하였다. 전국 택배 물동량의 약 70%가 수도권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물류창고는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동안 급증한 택배 물동량에 비해 서울시 내부 물류시설의 규모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점차 증가하는 택배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도심물류창고의 확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일반물류창고의 입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는 이미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도심물류창고의 입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형 소형 물류창고(MFC: Micro Fulfillment Center)의 입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