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턴
- 서울대학교
- 물류
- 교통물류
- 서울대
- 지하물류
- Physical internet
- 허성호
- 녹색물류
- 지속가능성
- 환경대학원
- 교통학 전공
- 교통
- esg
- 교통학전공
-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
- 신입생모집
- 지속가능
- 대학원
- 신입생 모집
- 교통학
- 철도물류
- 탄소중립
- 모빌리티
- 대한교통학회
- 물류연구실
- 지속가능한 물류
- 라운드테이블
- 콜로키움
- 서울대 환경대학원
- Today
- Total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2025 SSLL 동계 인턴 정준호 후기 본문
안녕하십니까,
2025년 동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 물류 연구실 인턴연구원 종료를 앞두고 있는 정준호입니다. 제가 인턴연구원으로 활동했던 8주간의 생생한 후기를 전달 드리겠습니다.
1. 지원과정
지난해인 2024년 ‘한국청년물류포럼’이라는 대외활동에서 진행된 ESG 프로젝트에서 E에 해당하는 환경 부분에 참여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이후 프로젝트와 대외활동이 동시에 종료됐을 무렵, 2025년 동계 인턴연구원 모집 공고를 한국청년물류포럼 카페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마침 업무 내용이 카고바이크의 ESG 효과 분석을 보조하는 업무였기 때문에 대외활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공부했던 내용들을 활용하고 적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인턴연구원에 지원했습니다.
지원 절차는 ‘서류 접수 > 면접 > 결과 발표’ 순서로 진행됐습니다. 지원 서류에는 상기의 내용을 지원동기로 작성했습니다. 그리고 연구실의 티스토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저의 경험과 역량을 보조업무에 어떻게 녹여낼 것인지 작성했습니다. 이후 면접은 교수님과 1:1로 진행되었고, 지원 서류에 대한 내용과 앞으로의 계획, 관심 있는 물류 분야 등에 대해 편안한 대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결과 발표까지 3-4일 정도 소요됐습니다.
2. 주요 업무
인턴연구원의 주요 업무는 크게 2가지였습니다. 첫 번째로 ‘연구프로젝트 보조 업무’가 있었습니다. 연구프로젝트의 주제는 "공영주차장 활용 카고바이크 택배배송사업 ESG효과분석"이었습니다. 조교님께서 프로젝트 업무 중 인턴연구원들이 담당해야 할 부분을 8주간의 인턴 일정에 따라 1주일에 목차 1개씩, 총 8개의 목차를 분담해주셨습니다. 주된 인턴 업무는 해당 주제에 맞는 개념과 사례 등을 조사하는 것이었고, 어려운 부분이 생기면 함께 방향을 잡아주셨습니다.
두 번째 주요 업무는 ‘논문리뷰’였습니다. 논문리뷰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주제의 논문을 찾아서 논문의 핵심 내용과 저의 아이디어를 함께 발표하는 것입니다. 발표는 주 1회 랩미팅 시간에 진행되었습니다. 다양한 논문을 리뷰하는 과정에서 여러 통계 모형을 공부할 수 있었고,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생기면 멘토님께서 알려주셔서 통계적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그리고 매 논문리뷰마다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과정을 통해 저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연구에 필요한 태도를 배울 수 있어서 뜻깊었습니다. 이 과정에서도 멘토님께서 함께 시사점을 고민해주시고 피드백 해주셔서 더 개선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3. 인턴 생활
매주 진행되는 프로젝트와 논문리뷰라는 큰 업무 틀 외에서는 편안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로 생활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실마다 개인 책상이 주어져서 프로젝트 조사 업무에 집중하고 싶을 때는 개인 공간을 이용했습니다. 답답하거나 머리를 식히면서 논문리뷰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싶을 때는 오픈 플랫폼이라는 개방형 공간을 이용하는 등 업무의 성격과 제 컨디션에 따라 업무를 밸런스 있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대학원 근처의 식당들을 자유롭게 이용하면서 메뉴에 따라 원하는 식당을 고르는 재미도 있었습니다. 식사 후에 연구실 분들께서 여러 카페에 데려가주시고 건물들도 소개해주셔서 말로만 들었던 넓은 서울대학교 캠퍼스의 구조도 이제는 어느 정도 눈에 익었습니다. 멘토님과 맛집 탐방도 하고, 코미디 공연도 봤던 학교 밖의 색다른 이벤트들도 즐거웠고 리프레시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 마지막으로, 비슷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분들과 지내며 친분을 쌓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제주고기국수(여기 피순대가 진짜 맛있어요!) |
![]() 기절초풍 왕순대(진짜 기절해요!) |
![]() 예술계 식당(제가 제주 애용했던!)입니다. |

P.S. 감사 인사
교수님께서 항상 적응에 어려운 점이나 힘든 점은 없는지 물어봐주셔서 어려움 없이 잘 적응하며 인턴 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퇴근 후에 질문을 드리면 저녁과 주말에도 항상 너무 친절하게 답해주시고 오히려 더 필요한 건 없는지 물어봐주셔서 감사하고, 학교 밖에 있는 맛집들로 기대되는 점심시간을 만들어주시고 캠퍼스 투어까지 해주셔서 멘토님께 감사합니다.
프로젝트 보조를 하면서 방향성이 안 잡힐 때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시고, 여러 인턴 생활과 관련된 질문에 구체적으로 알려주신 조교님께 감사합니다.
그리고 연구실에 계신 모든 분들께도 항상 웃으며 인사해주시고 인턴과 대학원 생활에 대한 질문 세례에도 흔쾌히 상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실 이야기 > 자유로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환경대학원 교통학전공 동계 워크숍 (0) | 2025.03.07 |
---|---|
2025 SSLL 동계 인턴 홍지윤 후기 (0) | 2025.02.28 |
2025 SSLL 동계 인턴 이승헌 후기 (0) | 2025.02.28 |
말라야 대학교와 함께한 공동 세미나 (0) | 2024.11.24 |
2024 한국로지스틱스학회 추계학술대회 참석 후기 (1)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