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2025 한국로지스틱스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석 후기 본문

연구실 이야기/자유로운 이야기

2025 한국로지스틱스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석 후기

GSES 허성호 교수 2025. 6. 8. 21:57

안녕하세요, 지속가능 스마트물류 연구실입니다!

 

저희 연구실은 2025 5 30, 제주대학교에서 열린 한국로지스틱스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석하고 돌아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회 참석 후기를 생생하게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로지스틱스 춘계 학회는 “Glocal Innovation” 주제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글로벌과 로컬을 아우르는 혁신적 아이디어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제주대학교의 푸른 캠퍼스와 제주 바다의 아름다운 풍경이 더해져, 더욱 특별한 경험이 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양훈 박사과정, 조한나 박사과정, 송다영 석사과정이 각자의 연구를 발표하였습니다.

 

 

양훈 박사과정은물류성과와 지속가능발전의 인과적 매커니즘: LPI SDGs 사이의 Granger-causality 분석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의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물류 성과의 중요성이 커지는 지금,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개념을 활용하여 국가별 물류성과지수(LPI) 경제 환경 다양한 지표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물류 성과와 지속가능발전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방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연구는 앞으로의 지속가능한 물류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있는 연구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조한나 박사과정은공동운송 기반 생축 운송 네트워크의 공간 구조 변화와 지역 물류 체계의 변화 분석 발표했습니다. 발표한 연구는, 국내 생축 운송에 공동운송 체계를 도입할 경우, 운송 네트워크의 중심성 공간 구조 변화를 분석한 내용이었습니다. AS-IS(기존 직송) TO-BE(공동운송) 시나리오를 비교하여 연결중심성, 조밀도, 커뮤니티 구조, 취약성 등의 지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중소농가 지원 방안과 스마트물류 정책 연계를 포함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했습니다.

 

송다영 석사과정은수도권의 스마트물류센터와 기존 물류센터의 입지 건축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발표했습니다. 최근 수도권에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물류센터와 기존 물류센터를 입지와 건축적 요인들의 변수를 정리하고 비교·분석하여 각각의 핵심 요인을 도출해내고, 스마트물류센터의 차별화된 특성과 스마트물류센터 도입시 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습니다.

 

학회 현장에서는 다양한 세션과 포스터 발표, 그리고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여러 대학과 산업계 연구자분들의 발표를 들으며, 물류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현안, 그리고 혁신적 해결책에 대해 폭넓게 배울 있었습니다.  특히,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새로운 시각과 아이디어를 얻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제주대학교에서 열린 학회답게, 제주만의 특별한 경험도 빼놓을 없었는데요. 학회에 참석한 발표자들과 교류하며 함께 신선한 회를 맛보고 카페에서 타임을 가지며 보다 깊은 대화를 나눌 있었습니다. 제주대학교의 학식도 직접 경험해보는 재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제주도의 맑고 푸른 바다와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감상하며, 연구와 휴식이 조화를 이루는 특별한 추억을 만들 있었습니다.

이번 학회를 통해 저희 연구실은 연구 역량을 한층 키울 있었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새로운 영감을 얻을 있었습니다. 특히, 이번 학회에서 양훈 박사과정이 수상의 영예를 안아 연구실 모두에게 기쁨과 자부심을 안겨주었습니다.


 
이런 소중한 기회를 만들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협력을 통해 물류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5 한국로지스틱스학회 춘계 학술대회 참석 후기를 마치며, 다음 포스팅에서는 다른 에피소드와 연구실 일상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