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물류 디지털화) 도시물류 공동 플랫폼 구현 본문

허교수 이야기/물류 이야기

(물류 디지털화) 도시물류 공동 플랫폼 구현

GSES 허성호 교수 2022. 11. 28. 17:24

 

도시물류 공동플랫폼 개념도

 닷컴 열풍과 함께 등장한 온라인 쇼핑은 지난 20여년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면서 우리의 소비패턴을 크게 변화시켰다. (지금도 변화시키고 있는 중이다) '소유권의 이전'(상적 유통: 상류)과 '물리적 전달'(물적 유통: 물류)로 구성되는 유통 과정에서 상류의 중개자로서 다양한 온라인 쇼핑몰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들은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렇다면 (택배)물류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물품의 소유권 이전에 따라 수반되는 부가적 활동으로, 단순히 물리적 전달을 대행해 주는 것에 불과한가?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부가가치는 무엇이 있는가? 

 

다양한 기술의 등장과 수요의 다변화로 예측할 수 있는 택배물류의 미래상은 아마 다음 중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적용위치 서비스 기술
지역 분배센터
/배송점
/영업소
 

 
고객
소규모, 단기 보관창고
공동수배송
화물배송추적
수요 예측 배송
퀵서비스 연계배송
단지 내 전담배송 서비스
편의점 택배
Drive-through 택배 station
무인택배함
(행정주소가 아닌) 위치기반 지정 배송 (자동차 트렁크, 핸드폰 위치기반 등)
지정시간배송
택배화물 정보 관리 및 제공

택배 비교 견적
택배발송/반품 대행
운송장(invisible barcode) 배송
자동 분류
자동 상하차
무인자동차배송
차량 내 자동 화물 소팅
무인 택배함
화물/사람 실시간 위치 tracking
Pick-up & Delivery 로봇
배송용 드론
택배함 대상 자동 상하차
빅데이터 분석 및 주문예측
전자운송장, 바코드 운송장

그리고 이러한 변화 속에 특화 서비스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들은 물류 과정에서 물리적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물리적 플랫폼의 작동을 위해서는 정보의 플랫폼 역시 함께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물류 공동플랫폼의 개념을 제안하였으며, 특히 오프라인 플랫폼과 온라인 플랫폼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조해 보기 바란다. 

 

허성호 외, (2016),택배물류서비스 개선을 위한 도시물류 공동플랫폼 구현,  한국교통연구원.

http://m.site.naver.com/13Q2o

 

기본연구보고서 | 메인 > 발간자료 > 기본연구보고서

Korea transport institute 홈> 발간자료 > 기본연구보고서 택배물류서비스 개선을 위한 도시물류 공동플랫폼 구현 저자 허성호, 민연주, 최부선, 박세범 발간일자 2016-11-30 발행기관 한국교통연구원 언

www.ko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