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탄소중립
- 교통물류
- 서울대
- 녹색물류
- esg
- 신입생 모집
- Physical internet
- 서울대 환경대학원
- 철도물류
- 지속가능한 물류
- 대학원
- 교통학
- 교통학 전공
- 서울대학교
- 지속가능성
- 환경대학원
-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
- 인턴
- 교통학전공
- 물류
- 라운드테이블
- 콜로키움
- 신입생모집
- 허성호
- 물류연구실
- 교통
- 지속가능
- 모빌리티
- 대한교통학회
- 지하물류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6)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최근 지하 개발에 대한 이슈가 많다. 개발에 의한 침하 등은 건설 자체의 문제라면, 아래와 같이 운영을 고려하는 문제도 있다. 아래 서울연구원 보고서에서는 지하와 연결되는 건축물에서 사람들이 대피해야 할 경우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다. https://www.si.re.kr/bbs/view.do?pstSn=2503120002&key=2024100039&fbclid=IwY2xjawJ8GHNleHRuA2FlbQIxMABicmlkETEydlBWRVhLOUtNb3psZG1xAR6XpUBVNeR5YSJpmjU2F26QmtqcFej2a5mnO5Z_h5j3Tkaj5oidLYQHVbSAfA_aem_4b7VEmzxQdXKiwOnT5Gdrw 사람이 있는 공간과 없는 공간은 재해의 대응에서 차이가 있다. 비록 방재 전문가는 ..

도시의 과밀화는 생활물류수요의 증가와 물류공간의 부족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파리에서 다양한 아이디어가 실현되고 있다. 우리의 현황을 진단하고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리뷰어: 최병선 박사수료

* 교통학전공과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에 관련된 문의는 최병선 RA(cbs1110@snu.ac.kr)에게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1.지원서 접수 (인터넷) : 2025.4.14.(월) 10:00 ~ 4.18.(금) 17:00까지※지정된 원서 접수 기간에 제출한 서류만 인정됨 2.서류 제출: 2025.4.14.(월) 10:00 ~ 4.21.(월) 17:00까지 3.면접 및 구술고사 : 2025.4.30.(수) 예정, 자세한 사항은 추후 홈페이지에 공지 4.합격자 발표 : 2025.6.12.(목) 18:00 이후 예정 준비 서류 및 입시 관련 자세한 내용은 학과 홈페이지 참고 바랍니다.https://gses.snu.ac.kr/news/notice/admissions?md=v&bbsidx=5584https:..

교통학회 발간지인 "교통기술과 정책" 제22권 제1호에 "지하물류시스템의 개념정의 및 운영 시나리오 도출" 이라는 제목의 논단을 실었습니다.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2107643 지하물류시스템의 개념 정의 및 운영 시나리오 도출 | DBpia허성호, 이성진 | 교통기술과정책 | 2025.3www.dbpia.co.kr 지하물류 프로젝트를 통해서 도출한 지하물류시스템의 개념적 정의와, 실현 가능한 운영시나리오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하물류에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 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교통학 전공 워크샵을 다녀온 다음날 2월 26일 2024학년도 전기(2025년 2월) 환경대학원 학위 수여식이 있었습니다.이번 학위수여식이 특별한 이유는 우리 연구실 석사과정인 김유정 학생이 졸업하는 날이기 때문입니다. 연구실 첫 졸업생인 만큼 뜻깊은 날이었고, 그 동안 함께 노력한 시간이 떠오르는 감동적인 날이었습니다. 대학원 생활하면서 함게 연구도 진행하고 학술 발표회도 참가하고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졸업 후에도 앞으로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라며,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얼마전 우연히 Boston Dynamics 의 로봇 영상을 보게 되었다. 아래 영상이다. https://youtu.be/I44_zbEwz_w?si=gBZMbrTxkSv3Gjlv 영상의 로봇은 일반 사람 이상으로 사람이 할 수 있는 무브를 보여주고 있다.(물론 시행착오는 있었으리라 생각되지만.) 문득, 물류작업 현장에서 로봇의 등장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지금까지 물류로봇은, 로봇을 위한 전용 환경 구축이 필수적이었다. 평탄한 바닥이 구비되어 있어 바퀴가 잘 굴러가거나, 전용 궤도를 설치하여 그 위를 이동하게 하거나, 바코드나 QR코드처럼 비전으로 쉽게 상품을 인식하거나 등등.. 이러한 환경 구축에는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물류기업들은 수지타산을 계산 해 보고 물류로봇의 도입을 결정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