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녹색물류
- 교통학전공
- 철도물류
- 교통학
- 서울대학교
- 라운드테이블
- 콜로키움
- 신입생 모집
- 물류
- 지속가능성
- 대한교통학회
- Physical internet
- 교통학 전공
- 모빌리티
-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
- 물류연구실
- 지속가능
- 교통물류
- 서울대 환경대학원
- 교통
- 택배
- 환경대학원
- 탄소중립
- 서울대
- 미래
- 허성호
- 대학원
- esg
- 지속가능한 물류
- 인턴
Archives
- Today
- Total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물류가 멈출 수도 있다. 본문
이웃나라 일본의 이야기다.
하지만 얼마뒤 우리의 이야기일 수도 있다.
물류가 멈추거나, 느려지면 단순히 불편한 것이 아니라 국가 경제에 손실이 발생한다. 노무라종합연구소 분석에 의하면 2030년 일본 전역의 물류정체에 따른 수요 감소로 GDP 10조엔 감소를 예측한다.
지난 2022년 시사인 기사이다. (우리 대학원 교통안전 전문가이신 한상진 교수님의 자문으로 만들어진 기사이다)
이런 환경은 우리가 마주하게 될 사람의 부족을 더 빨리 오게 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반대의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11567?sid=101
로봇이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는 기사다.
동시대에 일어나는 정 반대의 변화는 과연 어떤 지점에서 만나게 될 것인가?
'허교수 이야기 > 물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악캠퍼스 녹색물류 실현계획 [`23년 녹색물류 강의 팀프로젝트A조] (2) | 2024.02.06 |
---|---|
운수업 통계조사 (2022) 잠정 결과 (0) | 2023.12.29 |
물류 스타트업 창업 동향 (0) | 2023.10.17 |
지하 공간과 물류 (0) | 2023.05.18 |
시외버스 터미널 폐업과 물류 (updated 230609)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