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지속가능스마트물류연구실
- 교통학전공
- 물류연구실
- 녹색물류
- 콜로키움
- 탄소중립
- 대학원
- 인턴
- 환경대학원
- 교통학
- esg
- 철도물류
- 모빌리티
- 교통학 전공
- 물류
- 지속가능한 물류
-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
- 라운드테이블
- Physical internet
- 서울대 환경대학원
- 서울대학교
- 허성호
- 서울대
- 교통
- 교통물류
- 대한교통학회
- 신입생 모집
- 택배
- 미래
- Today
- Total
목록허교수 이야기 (31)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속가능·스마트물류 랩 허성호 교수
일본은 이래저래 우리와 가까이 비교할 수 밖에 없는 나라이다. 물류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산업의 구조나 사회에서의 역할 등 많은 부분 일본과 닮아있다. 특히 최근 노령화, 제도의 변화와 함께 속칭 "2024 문제"라는 공급 부족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대응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전의 포스팅에서 다룬 바 있다. * 일본의 물류 2024 문제와 한국 https://snu-shur.tistory.com/56* 물류 효율화를 위한 일본의 대응 https://snu-shur.tistory.com/81 Physical Internet(PI), 혹은 물리적 인터넷은 "디지털 기술로 차량과 창고 정보를 가시화한 뒤 규격 용기에 화물을 담아 여러 기업의 물류 자산이 공유화된 네트워크로 공동 수배..
작년에 국토교통부, 철도기술연구원과 함께 국토교통 미래 첨단물류를 예측해 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 사회.경제.기술 트렌드들과 물류분야의 신규 과제들, 로드맵 등을 종합하여 그룹화 하여 나름대로 핵심 아이템들을 뽑아 보았다. 약 20여개의 아이템들이 정리되었고, 우리 대학원 Justin LIM 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아래와 같은 미래상 이미지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미래상은 국토교통부의 제4차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에도 수록 되었다.
어쩌다 보니 일본의 물류 이야기를 몇번에 걸쳐 하게되었다. 물류산업 구조도 비슷하고, 사회가 당면한 문제점들도 비슷해서 더욱 관심이 가게 되는 것 같다. 일본의 물류 2024 문제는 아래의 예전 포스팅에서 언급 한 바 있다. https://snu-shur.tistory.com/56 일본의 물류 2024 문제와 한국일본 물류에서 몇년 전부터 이슈가 되는 주제는 단연 '물류 2024 문제'이다. 말하자면 화물운송기사 버전의 '주52시간제'가 올 4월부터 시행되면서 2030년까지 최대 34%의 물류가 멈출수도 있다는 예snu-shur.tistory.com 기업들이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는지, 궁금했는데 정리된 자료가 있어서 공유한다. ( 글로벌 물류산업 동향 62호 - KOTI 한국교통연구원 ) 사실, 예..
일본의 대표적인 물류 박람회인 도쿄 국제물류 박람회에 다녀왔다. 처음 개최된 지 약 30년 정도 된 역사있는 박람회이면서 그 규모도 크다고 알고 있어 와보고 싶었는데 이제서야 와 보게 되었다. (개최 시기가 거의 매번 추석때와 겹친다) 내가 느낀 점을 세줄 요약 해보면 아래와 같다. 1. 무인화 자동화는 계속된다 2. 이제는 속도와 무게 경쟁 3. 중국기업의 부상, 중국기업과 일본 기업의 협력관계 형성1. 무인화 자동화는 계속된다 아마존의 KIVA 시스템 도입 이후 선반과 로봇을 이용한 GTP 기술은 일반화 된 형상이다. KVIA 컨셉이 활용된 시스템이 매우 많다. 2. 이제는 속도와 무게 경쟁 얼마 전까지만 해도 AGV나 AMR 로봇들은 등장 자체가 이슈 요소였다. 이제는 성능을 홍보하고 있다..
최근 물류와 관련된 여러 지표들과 GDP를 비교해 보고 있다. 아래 그림은 그 중 LPI 지수와 GDP의 상관관계를 산점도로 확인 해 본 것이다. 꽤나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실제로 상관분석을 수행해 보면 pearson 상관계수 0.762 (유의확률 0.01수준) 수준의 꽤 강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각국의 경제에서 물류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시각적으로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연구 프로젝트로 지하물류를 계속 살펴보고 있는 와중에, 동향 파악을 위해서 검색을 좀 해 보았다. 논문들을 검색 하면서 느낌상으로만 최근 중국 연구들이 많이 보인다고 느껴오다 이를 확인 해 보고 싶어졌기 때문이다. WoS 에서 지하물류로 검색 해 본 결과 일단 최근 지하물류 관련 연구들의 증가세는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가 최근 느끼고 있는 것을 확인 해 보았는데, 역시나 중국 연구가 매우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언론상에서 접하게 되는 중국 지하물류 프로젝트들이 어느정도 실체가 있다는 것을 (최소한 이론적인 구상과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의외로 미국의 연구도 많이 발간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기억에 남는 연구는 많지 않아서 조금 더 자세히 살펴 ..